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보도자료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창덕궁 연경당 진작례 복원 공연 개최
  • 담당자 대외협력과 성상현 (02-746-9078)
  • 등록일2025.09.18
  • 조회수162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 복원 공연 개최
- 역사적 의례와 정재를 원형에 가깝게 재현,
전통문화의 학술적·예술적 가치를 국내외에 선보인다
- 923(), 24() 오전 11/ 창덕궁 연경당 본채





한국예술종합학교(총장직무대리 이영희)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는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소장 오택근)와 함께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 복원 공연923()24() 오전 11시 창덕궁 연경당 본채에서 개최된다.

이번 공연은 1828년 효명세자가 부친 순조와 모친 순원왕후의 탄신을 경하하기 위해 거행한 '진작례(進爵禮)'순조 무자 진작의궤의 고증을 기반으로 복원하는 행사다. 의례 절차, 정재, 복식, 음악, 음식 등 모든 요소를 원형에 가깝게 되살려, 단순한 재현을 넘어 조선 궁중문화의 총체적 경험을 제공한다.

진작례 복원공연의 총감독을 맡은 허영일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전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소장)은 이번 공연이 과거의 기록을 오늘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이며, “전통이 지닌 사유와 미학을 현대적 관점에서 체험하게 하는 학술적·예술적 장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복원 작업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 연구와 교육, 창작이 순환하는 통합적 플랫폼을 형성하며, 공연과 함께 구축되는 자료는 후대 연구자와 예술가들에게 참조 가능한 공적 자산이 된다.

이번 복원 공연은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 한국 전통무용의 현재적 예술성과 국제적 위상을 동시에 보여주는 장으로 기획되었다. 특히, 오는 10APEC 문화행사에서 선보일 작품들을 이번 연경당 공연에서 동일하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은 국내 관객들에게 매우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 세계 정상과 국제 관객에게 선보일 무대를 미리 체험하며, 궁중정재의 완성도와 섬세함을 현장에서 느낄 수 있다.

또한, 지난 10여 년간 연경당에서 펼쳐진 복원 공연 중 예술적 완성도가 가장 높은 5개의 정재를 엄선하여 선보인다는 점에서, 이번 공연은 관람객에게 단순한 재현 이상의 깊이 있는 예술적 감동을 제공한다. 선정된 정재는 다음과 같다.

순조 무자 진작의궤에 기록된 17개 정재 종목 가운데, 올해는 다섯 곡목이 무대에 오른다.

1. 망선문 학을 타고 내려오는 신선의 상징을 표현하며 연회의 막을 여는 춤
2. 춘앵전 버드나무 가지에 앉은 꾀꼬리의 자태를 형상화한 춤
3. 영지 네모난 연못에 비친 달 그림자를 감상하는 신선의 춤
4. 공막무 검무 계열 정재로서 절제와 긴장미가 돋보이는 춤
5. 박접무 나비의 날갯짓을 형상화한 봄날의 경쾌한 춤

이번 공연은 역사적 현장인 창덕궁 연경당에서 진행되어, 관객들은 궁중의례의 원형과 전통무용의 예술적 정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더불어 공연과 함께 축적되는 연구용 데이터와 기록물은 학계 및 국제 문화교류 활동에 활용되어, 한국 전통무용의 세계적 이해와 교육적 확산에 기여할 예정이다.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계민족무용연구소(02-746-9347, 9344)로 문의하면 된다.

행사 개요
행사명: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 복원 공연
일시: 2025923() ~ 24() 오전 11:00 (공연 시간 60)
장소: 창덕궁 연경당 본채
주최: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 관리소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국제문화교류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율이용허락(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배소연(02-746-934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목록
담당부서 연락처대외협력과 : 02-746-907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