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s PRIDE 2024
K-Arts PRIDE 2024
PRIDE 7
MEESAGE
HIGHLIGHTS
INFORMATION

비전, 목표, 연혁

비전

미래를 이끄는 세계 예술교육의 중심 K-Arts


목표

  • 세계 10대 글로벌 예술대학 도약
  • 예술교육 혁신을 위한 캠퍼스 재창조
  • 디지털 전환시대 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
  • 실험과 협업으로 세계 예술계 선도
  • 소통강화 및 지속 가능한 대학문화 형성
  • 국내외 대학 및 지역 사회의 교류협력 강화
연혁

1990. 6. 25.
'문화발전 10개년 계획'을 통해 문화부가 국립예술학교 설립 계획 공표

1991. 12. 30.
한국예술종합학교 설치령 제정

1992. 9. 17.
학칙 제정

1992. 10. 30.
학과 직제 확정(개교기념일)

1992. 11. 16.
초대 이강숙 총장 취임

1993. 3. 8.
세계 정상급 교수진의 선진 교수법과 우수한 시설을 갖춘 예술전문 교육기관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식 개교

1993. 3. 8.
콘서바토리 형태의 한국형 음악교육기관 음악원 개원

1994. 3. 3.
한국 유일의 국립 연극학교인 연극원 개원

1995. 3. 8.
국내 최초의 국립 영상학교인 영상원 개원

1996. 2. 28.
캠퍼스를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으로 이전

1996. 3. 4.
한국 최초의 단일 고등음악교육기관인 무용원 개원

1997. 3. 3.
새로운 시대의 실질적 미술가 양성을 위한 미술원 개원

1998. 3. 9.
한국 전통예술의 창달을 위한 전통예술원의 개원

1999. 9. 21.
서초동 교사 완공

2002. 3. 1.
제4대 이건용 총장 취임

2005. 9. 1.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신설

2006. 3. 1.
제5대 황지우 총장 취임

2006. 10. 9.
석관동 신축교사 준공

2008. 8. 1.
정부가 지원하는 국내 최초의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설립

2009. 8. 13.
제6대 박종원 총장 취임

2012. 10. 30.
개교 20주년 기념식 및 비전 선언

2014. 4. 4.
대학로캠퍼스 개관

2017. 10. 11.
개교 25주년 기념식 개최

2017. 11. 27.
서초동 교사 증축 및 리모델링 준공식

2021. 8. 26.
제9대 김대진 총장 취임

2022. 10. 30.
개교 30주년 비전 선언

2023. 3. 16.
개교 30주년 기념식 개최

6개원 소개

음악원
School of Music

음악원은 순수 국내파 출신의 세계적인 음악가를 양성하고자 1993년 설립한 국내 유일의 실기 중심 콘서바토리 형태의 국립음악전문교육기관입니다. 소수 정예의 재능 있는 학생들을 선발하여 혁신적이며 밀도 높은 교육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깔을 찾아가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음악을 사랑하는 교수진과 학생들의 예술적 에너지는 하나로 응집되고 더 단단해져 세계 무대에서 당당히 인정받고 활동하는 힘의 근원이 됩니다.



성악과 Vocal Music
기악과 Instrumental Music
작곡과 Composition
지휘과 Conducting
음악학과 Musicology
음악테크놀로지과 Music Technology

연극원
School of Drama

연극원은 ‘모든 공연예술의 출발이자 완성으로서의 연극’이라는 열린 전제 아래 한국과 세계 연극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제안할 연극 창작자를 길러 내는 국내 유일의 종합연극교육기관입니다. 체계적 연극교육 시스템에 따라 모든 교과과정이 학기마다 올리는 24편의 크고 작은 공연들 속에 융합되고 수렴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철저하게 공연 중심 교육으로 특성화된 교과과정에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학생들은 끊임없이 도전하고 모험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목소리와 낯선 형식, 새로운 콘텐츠를 찾아냅니다.



연기과 Acting
연출과 Directing
극작과 Playwriting
무대미술과 Stage Design
연극학과 Theatre Studies
음악극창작과 Musical Theatre Writing Program

영상원
School of Film, TV&Multimedia

영상원은 현대적 테크놀로지에 바탕을 둔 영상매체를 이용한 새로운 영상작품을 창의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국내 최초의 국립영상학교입니다. 영상작품은 다양한 사람들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특수 영역과 전문성을 존중하며,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문화현상을 폭넓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는 자율적 능력을 키워주는 학제적 탐구를 중시합니다. 영상산업의 제작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학생들은 현장학습을 통해 실무제작 능력을 키우고, 국제 협업 및 공동제작 프로그램 운영으로 국제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합니다.



영화과 Filmmaking
방송영상과 Broadcasting
멀티미디어영상과 Multimedia
애니메이션과 Animation
영상이론과 Cinema Studies

무용원
School of Dance

무용원은 한국 최초로 실기, 창작, 이론 분야를 전공 영역별로 나눈 무용교육 체제 아래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세계 속의 고등무용교육기관을 지향합니다. 강도 높은 실기교육, 창의력에 역점을 두는 창작교육, 그리고 사고력과 인문사회과학 소양 계발에 역점을 둔 이론교육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 춤 유산과 발레, 현대 춤 양식을 두루 섭렵한 학생들은 국내외 유명 무용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세계 유수 전문 무용단의 주역 무용수, 안무가, 기획자로 활동하며 한국의 명성을 드높이고 있습니다.



실기과 Dance Performance
창작과 Choreography
이론과 Dance Theory

미술원
School of Visual Arts

미술원은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미술인을 육성하고 미술교육의 선진적 대안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된 국립미술교육기관입니다. 개별 장르나 매체에 집중되어 온 장인적 교육의 틀을 벗어나 진취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미술교육의 모델을 구축,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조형예술, 디자인, 건축, 미술이론을 배우는 학생들은 서로 통섭하며 사회문화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포괄적인 안목과 실천적 의지를 갖는 예술가를 추구합니다.



조형예술과 Fine Arts
디자인과 Design
건축과 Architecture
미술이론과 Art Theory

전통예술원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Arts

전통예술원은 기악(樂), 노래(歌), 춤(舞) 중심의 전통공연예술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공연 역량을 극대화하여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인재를 길러내는 고등교육기관입니다. 한국에서 행해지던 공연예술의 시작과 원형을 제공하는 한국예술의 콘텐츠 원형 저장소로서 정통을 잇고, 전통을 또다시 창조하는 교육을 펼치고 있습니다. 단순한 기술을 강조하던 전통 예술교육의 한계를 넘어선 학생들은 삶과 치열한 예술정신이 자연스럽게 전이되는, 즉 전통과 창작이 조화되는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정신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한국예술학과 Korean Traditional Arts Theory
음악과 Korean Traditional Music
무용과 Korean Traditional Dance
연희과 Korean Traditional Dramatic Performing Arts
한국음악작곡과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전임교원

음악원

성악과
최상호
테너
양희준
베이스
홍혜란
소프라노
서선영
소프라노

기악과
김대진
피아노
이강호
첼로
이석준
호른
오자경
오르간
박상민
첼로
오순화
비올라
이영희
피아노(반주)
이예린
플루트
채재일
클라리넷
김현미
바이올린
이진상
피아노
김은혜
타악기
김영욱
바이올린
이지혜
바이올린

작곡과
이병무
작곡
배동진
작곡

지휘과
김홍수
합창지휘

음악학과
주성혜
음악학
김수진
음악학
정혜윤
음악학

음악테크놀로지과
장재호
컴퓨터작곡
연극원

극작과
박상현
극작, 연출
김태웅
극작, 연출
김경욱
서사창작
권희철
서사창작, 문학비평
고연옥
극작
안희연
서사창작, 시

무대미술과
고희선
조명디자인
윤시중
무대미술
어경준
무대기술
이진희
의상디자인

연극학과
김미희
연극비평, 드라마터지, 영미드라마
이성곤
아시아극
우수진
한국연극사
홍기원
예술경영, 문화정책

연기과
남긍호
움직임
황하영
아동청소년 연극
김수기
연기
박상하
연기, 연출
서충식
연기, 연출
김선애
Voice, 연기
강민재
연기, 연출
오만석
연기
윤소희
호흡과 발성 및 화술
강윤아
아동청소년 연극

연출과
박근형
연출, 극작
최종윤
음악극창작 (작곡)
윤한솔
연출
김재엽
연출, 극작
배삼식
음악극창작 (대본 및 작사)
영상원

영화과
박현철
영화촬영
이승무
연출, 제작실기
최용배
영화기획
편장완
영화이론
김양일
영화편집
이정범
영화연출
박종원
영화연출
최민영
편집
김형구
영화촬영
이규석
영화음향

방송영상과
임태우
TV 내러티브, 드라마 연출
김진혁
TV 교양, 다큐 제작
한성수
촬영
전규찬
방송이론, 방송비평
강상우
다큐영화 연출

멀티미디어영상과
한상진
멀티미디어 (영상그래픽)
조충연
멀티미디어
장윤희
그래픽디자인
이성은
컴퓨터 그래픽스
조풍연
커머셜 영상 연출

애니메이션과
이정민
컴퓨터 애니메이션
곽영진
디지털 애니메이션
박종신
3D, XR 애니메이션

영상이론과
하승우
영상이론
김소영
영상이론
남수영
영화이론
무용원

실기과
우광혁
무용음악
김선희
발레
김용걸
발레
조주현
발레
신창호
현대무용
안덕기
한국무용
김형민
현대무용
전성재
한국무용
김현웅
발레

창작과
김삼진
한국무용
안성수
발레
정재혁
현대무용

이론과
나경아
무용과학
서정록
민족무용학
한석진
무용미학, 비평
홍승찬
예술경영
전수환
예술경영
미술원

조형예술과
김지원
회화
구지윤
평면조형
박성원
유리
정주영
회화
임민욱
인터미디어
김연용
시각예술
남화연
입체조형
전소정
입체조형

디자인과
김경균
디자인
김기현
제품디자인
심규하
융합디자인
어민선
융합디자인

건축과
김병찬
건축설계
이강민
건축역사
김종규
건축설계
우동선
근대건축
김태영
건축설계
지강일
건축설계
임유경
도시건축

미술이론과
진휘연
미술사학 (서양미술사/현대)
양정무
미술사학 (서양미술사)
조인수
미술사학 (동양미술사)
김연재
미술경영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전지영
음악사, 음악비평
이진원
한국음악학
성기숙
전통무용이론, 비평
이동연
문화이론, 문화예술정책

음악과
정수년
해금
유영주
거문고
류경화
타악
채수정
판소리
진윤경
피리
김형섭
가야금

무용과
박은영
전통무용
이소정
민속무용

연희과
김원민
풍물
박인수
탈춤

한국음악작곡과
임준희
작곡
이귀숙
작곡

전공 및 정원

6개원 학과별 입학정원(예술사)
2024학년도 입학시험 기준
음악원
0명
성악과
0
기악과
0
작곡과
>0
지휘과
0
음악학과
0

연극원
0명
연기과
0
연출과
0
극작과
0
무대미술과
0
연극학과
0

영상원
0명
영화과
0
방송영상과
0
멀티미디어영상과
0
애니메이션과
0
영상이론과
0

무용원
0명
실기과
0
이론과
0
창작과
0

미술원
0명
조형예술과
0
디자인과
0
건축과
0
미술이론과
0

전통예술원
0명
한국예술학과
0
음악과
0
한국음악작곡과
0
무용과
0
연희과
0
입시 경쟁률
2024학년도 예술사 정원내 전형 입시 경쟁률

0:1

총 558명 모집/ 총 13,107명 지원

학사통계

총 입학생수
1993–2024년도 학적보유자

명

예술사 67.5% (15,591명)

전문사 32.5% (7,503명)

총 졸업생수

0 명

예술사 10,412 + 전문사 4,675

총 재학생수
2024년 3월 기준

0 명

예술사 2,924 + 전문사 1,229

전임교원

교원 1인 당 학생 수
2024년 현재

0 명

전임교원 137명/ 학생 정원 3,534명

전임교원 확보율
2024년 현재

0 %

현원 137명/ 정원 157명

국립대 혜택

연간 등록금
2024년 기준

0 만원

한국예술종합학교
480만원
H대학교
919만원
D대학교
891만원
J대학교
893만원
H대학교
933만원
E대학교
998만원
Y대학교
954만원
S대학교
739만원
장학금 수혜자
2024년 기준

0 명

장학금 지급액
2024년 기준

0 억 0 천만원

장학금 수혜율
2024년 기준

0 %

예술소장자료 현황
구분
소장량
도서
267,127
비도서
123,325
전자자료
112,265
연속간행물
272
학위논문
9,348
학교발행자료
21,266
특수자료
480
기타
11,240
계
545,323
디지털 예술정보 DB 구축 현황
구분
소장량
동영상
11,037
이미지
24,757
사진
222,536
음원
4,027
다큐멘트
3,404
계
265,761

국내외 수상

1993~2024년 6월 기준
1위 수상
1993~2024년 6월 기준

0 회


총 수상

0 회



2024년 주요 수상
2024년 6월 기준
1위 수상

0 회


총 수상

0 회


6개원 역대 주요 수상

음악원
  •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 퀸 엘리자베스 국제콩쿠르 바이올린 1위, 성악 1위, 작곡 1위
  • 차이콥스키 국제콩쿠르 성악 남녀 1위, 피아노 2위, 바이올린 3위
  •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3위
  • 반 클라이번 국제피아노콩쿠르 최연소 1위 및최고연주상
  •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콩쿠르 첼로 최연소 1위, 작곡(교향악) 1위
  • 롱-티보 국제콩쿠르 바이올린 2위

연극원
  • 미국 배우조합상 영화 부문 앙상블상, 미국 미술감독조합상 현대극 부문 수상
  •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루베라투르상 후보 및 미국 아마존 선정 소설가
  • 밀라노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뉴욕아시아영화제 떠오르는 아시아스타상
  • 한국뮤지컬어워즈 연출상, 극본상, 작사작곡상, 남우주연상
  • 동아연극상 연출상, 연기상, 희곡상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TV부문, 연극부문

영상원
  • 칸 국제영화제 라 시네프 부문 11회 공식초청 및 한국인 최초 2등상
  • 베를린 국제영화제 황금곰상, 팔레르모페랑 국제영화제 대상
  • 안시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학생경쟁부문 대상

무용원
  • 로잔 국제발레콩쿠르 1위, 바르나 국제발레콩쿠르 1위
  • 유스아메리카 그랑프리 대상
  • 베를린 국제무용콩쿠르 현대무용 금상
  • 브누아 드 라 당스 최고 남성 무용수상, 최고 여성 무용수상

미술원
  • 베니스비엔날레 작가 최연소 초청, 한국관 참여
  •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수상
  • 칸 국제광고제 다이렉트 부문 수상
  •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전통예술원
  • 전주대사습놀이 판소리 명창부 장원(대통령상)
  • 온나라 국악경연대회 대상(대통령상)
  • 동아국악콩쿠르 대상
  • 전국 난계국악 경연대회 대상

국내교류

2024년 9월 기준
구분 기관
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통문화학교
광운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연세대학교
한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지자체
서초구
노원구
종로구
신안군
서울특별시
철원군
전라남도
성북구
강진군
구리시
경상북도
강릉시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남도
통영시
광주광역시
구례군
수원특례시
국공립 기관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서울지방경찰청
외교부
국회사무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경기도교육청
한국콘텐츠진흥원
새만금개발청
육군노도부대
한국과학창의재단
경기문화재단
고양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의정부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태권도진흥재단
세종문화회관
서울혁신센터
서울도시주택공사
세종학당재단
서울특별시교육청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경기아트센터
경상남도교육청
문화재청
한국저작권위원회
국제방송교류재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제교류재단
김포문화재단
(재)KBS교향악단
대법원
사립 기관
(사)한국케이블
TV방송협회
(주)SBS
성 라자로 마을
(사)더불어 꿈
(주)대성아트센터
(사)세계화교육문화재단
YTN
네이버주식회사
정몽구 현대차 재단
소롭티미스트한양클럽
(주)유니버설뮤직
KT&G장학재단
한국메세나협회
신영증권(주)
경희대 의료원
(주)한경아르떼
(재)동원육영재단
㈜브이에이코퍼레이션
LG연암문화재단
인천국제공항공사
기타
여성이 안전한 성북 (성북 경찰서 등 10개 기관 합동)
지역 사회 기반 공동교육과정 개발 및 공유(성북문화재단 및 성북지역 7개 대학교 합동)
예술 및 문화콘텐츠 산업 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 (5개 대학교 합동)
기관 수

0

0

0

0

0

계

0 개 기관 (94건)

구분 기관
기관 수
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통문화학교
광운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연세대학교
한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국민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0

지자체
서초구
노원구
종로구
신안군
서울특별시
철원군
전라남도
성북구
강진군
구리시
경상북도
강릉시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남도
통영시
광주광역시
구례군
수원특례시

0

국공립 기관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서울지방경찰청
외교부
국회사무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경기도교육청
한국콘텐츠진흥원
새만금개발청
육군노도부대
한국과학창의재단
경기문화재단
고양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의정부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태권도진흥재단
세종문화회관
서울혁신센터
서울도시주택공사
세종학당재단
서울특별시교육청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경기아트센터
경상남도교육청
문화재청
한국저작권위원회
국제방송교류재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제교류재단
김포문화재단
(재)KBS교향악단
대법원

0

사립 기관
(사)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주)SBS
성 라자로 마을
(사)더불어 꿈
(주)대성아트센터
(사)세계화교육문화재단
YTN
네이버주식회사
정몽구 현대차 재단
소롭티미스트한양클럽
(주)유니버설뮤직
KT&G장학재단
한국메세나협회
신영증권(주)
경희대 의료원
(주)한경아르떼
(재)동원육영재단
㈜브이에이코퍼레이션
LG연암문화재단
인천국제공항공사

0

기타
여성이 안전한 성북 (성북 경찰서 등 10개 기관 합동)
지역 사회 기반 공동교육과정 개발 및 공유(성북문화재단 및 성북지역 7개 대학교 합동)
예술 및 문화콘텐츠 산업 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 (5개 대학교 합동)

0

계

0 개 기관 (94건)

해외 우수예술인재 유치 양성

도미니카 공화국 1
멕시코 2
베네수엘라 2
브라질 2
콜롬비아 1
쿠바 1

몬테네그로 1
몰도바 1
벨라루스 2
아제르바이잔 1
이란 7
조지아 1
튀르키예 5

우즈베키스탄 11
카자흐스탄 18
키르기스스탄 7
타지키스탄 1
투르크메니스탄 1

마다가스카르 2
말라위 3
이집트 2
케냐 1

네팔 6
라오스 1
말레이시아 27
미얀마 11
방글라데시 6
베트남 25
인도 5
인도네시아 21
캄보디아 11
태국 33
티벳 1
파키스탄 3
필리핀 14

몽골 61
중국 60

AMA+(Art Major Asian plus, AMA+ Scholarship) 운영
2005~2024년

0 개국
0 명 입학

0 개국
0 명 졸업


전 세계 우수 예술인재들을 문화체육관광부 장학생으로 선발하여 예술사, 전문사 교육과정을 이수, 졸업생으로 배출하는 국비장학제도. 졸업 후 본국으로 돌아가 교수나 예술가로 활동하며 문화 예술 교류 매개자 역할
* AMA+ 지원 대상국가: 개발원조위원회(OECD/DAC)의 원조대상국가 전체
AMA+ 졸업생 다수가 본국에서 유명 예술가, 국립 예술대 교수·강사, 문화 사업가, 국립예술단원, 관련계통 공무원 등 사회 지도층으로 활동*하며 한국문화 전파의 가교 역할 수행.
* 캄보디아 정보부 차관, 미얀마 국립예술대학 전 총장, 각 국 국립 오케스트라/무용단/오페라단 단원,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영화 감독, ‹오징어게임› ‘알리’역 배우 등
AMA+ 장학생 분포  수혜국 권역별
2005~2024년
권역(국가수)
국가
아시아(21)
네팔,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티벳, 파키스탄, 필리핀
아프리카(4)
말라위, 케냐, 마다가스카르, 이집트
중남미(6)
멕시코, 쿠바, 브라질,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중동(3)
아제르바이잔, 이란, 튀르키예
동유럽(4)
몬테네그로, 몰도바, 벨라루스, 조지아
AMA+ 장학생 원별 분포(누적)
2005~2024년
구분
누적인원
예술사
전문사
음악원
58명(16.2%)
176명
182명
연극원
36명(10.0%)
영상원
98명(27.4%)
무용원
59명(16.5%)
미술원
60명(16.8%)
전통원
44명(12.3%)
협동과정
3명(0.8%)
합계
358명

해외교류협정대학

북미 1개국 17개교

남미 5개국 8개교

유럽 16개국 68개교

아프리카 1개국 1개교

아시아 19개국 59개교

오세아니아 1개국 2개교

0 개국 0 개교

In/ Out 교환학생교류

0 여 명


Outbound

3월(가을학기 파견), 9월(봄학기 파견) 1차 본교자체심사 → 2차 해외자매교 최종 합격자 선발


Inbound

4월(가을학기 수학), 10월(봄학기 수학) 1차 해외자매교 추천 → 2차 본교 최종 합격자 선발

재외문화원 및 세종학당 해외 파견
재외문화원 일 경험 수련생 파견
2005~2024년
2015년
1개국
1명
2016년
1개국
1명
2017년
3개국
3명
2018년
3개국
3명
2019년
2개국
2명
2020년
3개국
3명
2021년
2개국
3명
2022년
5개국
5명
2023년
5개국
8명
2024년
7개국
11명
세종학당 문화인턴 파견
2005~2024년
2015년
9개국
10명
2016년
4개국
4명
2017년
7개국
7명
2018년
5개국
5명
2019년
5개국
5명
2020년
2021년
비대면 진행 *3팀(8명) 선발
2022년
3개국
3명
2023년
4개국
4명
2024년
8개국
8명

해외교류협정대학 현황

아시아 19개국 59개교
네팔
1
Lalit Kal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라릿카라 국립예술대학교)
2
Sirjana College of Fine Arts (수라자나 예술대학교)
대만
3
Taipei National University of Arts (국립대북예술대학교)
4
Shih Hsin University (세신대학)
5
Kun Shan University (군샨대학교)
6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Arts (국립대만예술대학교)
7
Tzu Chi University (자제대학교)
Tzu Chi Senior High School (자제대부속고등학교)
8
Tzu Ch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onology (자제과학기술대학교)
9
Da Ai TV (대애방송국)
10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국립대남예술대학교)
말레이시아
11
Malaysian Institute of Arts (말레이시아예술대학교)
몽골
12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몽골국립문화예술대학교)
13
Mongolian State College of Music and Dance (몽골 국립컨서바토리)
미얀마
14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ss, Yangon (국립문화예술대학교)
베트남
15
Hanoi Academy of Theadive and Cinema (하노이 연극영화 아카데미)
사우디아라비아
16
The Royal Institute of divaditional Arts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전통예술원)
스리랑카
17
University of the Visual and Performing Arts (콜롬보 예술대학교)
싱가포르
18
Nanyang Academy of Fine Arts (난양예술대학)
19
Lasalle College of the Arts (라셀예술대학교)
아제르바이잔
20
Azerbaijan State Academy of Fine Art (아제르바이잔 국립미술대학교)
우즈베키스탄
21
The State Conservatory of Uzbekistan (우즈베키스탄 국립컨서바토리)
22
National Institute of Fine Arts And Design (우즈베키스탄 국립 미술디자인대학교)
23
The Uzbekistan State Institute of Arts and Culture (우즈베키스탄 국립문화예술대학교)
인도
24
Cendive for the Study of Culture & Society (사회문화대학교)
25
Jadavpur University (자다푸르대학교)
26
Jawaharlal Nehru University (네루대학교)
27
University of Delhi (델리대학교)
인도네시아
28
Indonesia Institute of the Arts, Yogyakarta (족자카르타 예술대학교)
일본
29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동경예술대학교)
30
Kyoto University of the Arts (교토조형예술대학교)
31
Tohoku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도호쿠 예술공과대학교)
32
Ochanomizu University (오차노미즈대학교)
33
Japan Institute of the Moving Image (일본영화대학교)
34
Kyoto City University of Arts (교토시립예술대학교)
35
Osaka University School of Letters (오사카 대학교 문학부/문학연구과)
36
Bird Theadive (새의 극장)
37
Showa Academia Musical (쇼와음악대학교)
중국
38
Tsinghua University (청화대학교)
39
Yanbian University (연변대학교)
40
Beijing Film Academy (북경전영학원)
41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중국전매대학교)
42
Jilin Animation Institute (길림동화학원)
43
Renmin University of China (중국인민대학교)
44
Shanghai Theadive Academy (상해희극학원)
45
China Conservatory of Music (중국음악학원)
46
Beijing Dance Academy (북경무도학원)
47
Shanghai Conservatory of Music (상해음악학원)
48
National Academy of Chinese Theadive Arts (중국희곡학원)
49
Cendival Academy of Drama (중앙희극학원)
50
China Cendival Academy of Fine Arts (중앙미술학원)
51
The Hong Kong Academy For Performing Arts (홍콩공연예술학원)
52
Sichuan Institute of Fine Arts (사천미술학원)
53
Donghua University (동화대학교)
카자흐스탄
54
Temirbek Kazakh National Academy of Arts (카자흐스탄 국립예술아카데미)
55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Musical Comedy Theater (카자흐스탄 국립고려극장)
캄보디아
56
The Royal University of Fine Arts (왕립예술대학교)
태국
57
Silpakorn University (실파콘대학교)
58
Thammasat University (타마삿대학교)
투르크메니스탄
59
Turkmen State Institute of Culture (투르크메니스탄 국립문화대학교)
유럽 16개국 68개교
네덜란드
60
Willem de Kooning Academy (윌렘드쿠닝아카데미)
61
The Patchingzone (패칭존)
62
HKU, University of the Arts Udivecht (위트레히트예술대학)
63
ArtEZ University of the Arts (ArtEZ 예술대학)
노르웨이
64
University of Bergen, Faculty of Fine Arts, Music and Design (베르겐대학교 미술음악디자인학부)
65
Oslo National Academy of the Arts (오슬로국립예술대학)
66
Ostfold University College (외스트폴드대학)
독일
67
The Ernst Busch Academy of Dramatic Arts (에른스트부시대학)
68
University of the Arts, Bremen (브레멘예술대학교)
69
Hannover University for Music and Drama (하노버 음악연극대학)
Hannover University for Music and Drama (하노버 음악연극대학 영화교육원)
70
Academy of Media Arts Cologne (쾰른 미디어아트 아카데미, KHM)
71
Film University Babelsberg KONRAD WOLF (콘라드볼프 영화방송대학교)
72
Braunschweig University of Arts (브라운슈바이크미술대학교)
73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Arts, TH-OWL (응용과학예술대학교)
74
Folkwang University of the Arts (폴크방예술대학)
75
Palucca University of Dance Dresden (팔루카무용대학교)
76
Filmakademie Baden-Wuerttemberg (바덴뷔르템베르크 필름 아카데미)
77
University of Fine Arts—Stadelschule (슈테델슐레 미술대학교)
78
University of Music And Drama Hamburg (함부르크 음악연극대학교)
79
University of the Arts, Berlin (베를린예술대학)
러시아
80
St. Petersburg State Theadive Arts Academy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연극아카데미)
81
The Boris Shchukin Theadive institute (보리스 슈킨 연극대학교)
82
The St. Petersburg State Conservatory named after N.A. Rimsky-Korsakov (림스키 코르사코프 국립음악원)
83
St. Petersburg State Institute of Culture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문화예술대학교)
84
The Moscow Tchaikovsky Conservatory (차이코프스키 국립음악원)
벨기에
85
LUCA School of Arts (LUCA 예술대학)
세르비아
86
University of Belgrade (벨그레이드 대학교)
87
University of Arts in Belgrade (벨그레이드 예술대학교)
스웨덴
88
Malmö Art Academy (말뫼 예술아카데미)
89
University of Gothenburg (예테보리 대학교 미술 응용 공예예술부)
스위스
90
Geneva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제네바 미술디자인 대학교)
91
Lucern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and Arts (루체른 응용과학 예술대학교)
92
Zurich University of the Arts (취리히 예술대학교)
영국
93
University of Exeter (엑서터대학교)
94
Middlesex University London (미들섹스대학교)
95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런던예술대학)
Wimbledon College of Arts (윔블던컬리지오브아트)
96
Royal College of Music (왕립음악대학교)
97
divinity Laban Conservatoire of Music and Dance (트리니티 라반 컨서바토리)
98
The Royal Conservatoire of Scotland (스코틀랜드 왕립 컨서바토리)
99
University of Westminster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오스트리아
100
University of Arts Linz (린츠 미술디자인 대학교)
101
University of Music and Performing Arts, Vienna (비엔나 국립음악대학교)
102
Univ. of Applied Sciences Upper Ausdivia School of Informatics, Communications and Media (어퍼오스트리아 응용과학대학교 정보통신미디어학부)
이탈리아
103
Conservatorio di Musica Santa Cecilia (산타체칠리아 국립음악원)
104
Conservatorio di Musica "Giuseppe Verdi" (밀라노 베르디 음악원)
체코
105
Academy of Performing Arts in Prague, Theadive Faculty (DAMU, 프라하 국립공연예술대학, 연극대학)
Academy of Performing Arts in Prague (AMU, 프라하 국립공연예술대학)
106
Academy of Fine Arts in Prague (프라하 미술아카데미)
튀르키예
107
Hacettepe University (하제테페대학교)
108
Bilkent University (빌켄트대학교)
109
Mimar Sinan Fine Arts University (미마르시난 미술대학교)
110
Anadolu University (아나돌루 대학교)
폴란드
111
National Film School in Lodz (우츠 국립영화학교)
112
Academy of Fine Arts in Warsaw (바르샤바 국립미술 아카데미)
프랑스
113
Conservatoire National Supérieur de Musique et de Danse de Paris (파리 국립고등음악무용 컨서바토리)
114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t de Dijon (디종 국립미술학교)
115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
116
Beaux-Arts Nantes Saint Nazaire (낭트생나제르 국립미술대학)
117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Architecture, Versaille (베르사유 국립건축학교)
118
EICAR The International Film and Television Schhool (파리 국제영화학교)
119
Ecole Superieure d'Art et de Design Tours Angers Le Mans, TALM School of Fine Arts and Design (앙제국립미술학교)
120
Theadive des Halles (아비뇽 데알 극장)
121
L'Académie de l'Union (유니온 아카데미-리무쟁 전문고등연극학교)
122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chitecture Nantes (낭트 국립고등건축학교)
123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Arts Décoratifs (국립고등장식미술학교)
124
Conservatoire National Supérieur de Musique et Danse de Lyon (리옹 국립고등음악무용 컨서바토리)
125
Haute Ecole des Arts du Rhin, HEAR (라인고등예술학교)
126
Ecole du Louvre (에콜 뒤 루브르)
핀란드
127
Univ. of the Arts Helsinki (헬싱키 예술대학교)
Univ. of the Arts Helsinki (헬싱키 예술대학교-극장 아카데미)
Univ. of the Arts Helsinki (헬싱키 예술대학교-미술 아카데미)
미주 6개국 18개교
미국
128
Carnegie Mellon University (카네기 멜론 대학교)
129
University of Florida (플로리다 대학교)
130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하와이 마노아 대학교)
131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캘리포니아주립 노스리지대학교)
132
Maryland Institute College of Art (메릴랜드 예술대학)
133
Yale University (예일대학교)
134
Miami University (마이애미 대학교)
135
University of Arts (예술대학교)
136
Pratt Institute (프랫대학)
137
Purchase Colle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뉴욕주립대 퍼체이스 칼리지)
138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캘리포니아 예술대학교)
139
San Francisco Art Institute (샌프란시스코 예술학교)
140
Massachusetts College of Art and Design (매사추세츠 예술디자인대학)
141
Columbia College Chicago (컬럼비아 컬리지 시카고)
14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143
Ringling College of Art and Design (링링 예술디자인대학)
144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노던 일리노이 대학교)
브라질
145
University of Sao Paulo (상파울로대학교)
아르헨티나
146
Universidad Nacional del Arte (아르헨티나 국립예술대학교)
147
Universidad del Cine (영화대학교)
칠레
148
University of Chile (국립칠레대학교)
코스타리카
149
Universidad Veritas (베리타스대학교)
콜롬비아
150
Universidad Autónoma de Bucaramanga (부카라망가 자치대학교)
151
University of los Andes (로스안데스 대학교)
152
Medivopolitan Institute of Technology, iTM (메데진시립공과대학)
오세아니아 1개국 2개교
호주
153
University of Wollongong (울롱공 대학교)
154
University of Sydney / Sydney Conservatorium of Music (시드니 대학교 음악 컨서바토리)
아프리카 1개국 1개교
이집트
155
Academy of Arts (이집트종합예술학교)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운영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선발
서울 본원
음악 104명, 무용 34명, 전통예술 38명, 융합 27명

0 명



지역캠퍼스(세종·경남통영·광주)
음악 55명, 무용 24명, 전통예술 23명, 융합 6명

0 명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수료
 2016–2023년

0 명

년도
선발
수료
2016년
173명
167명
2017년
173명
167명
2018년
173명
168명
2019년
178명
168명
2020년
180명
174명
2021년(지역캠퍼스 신설 및 포함)
306명
297명
2022년(지역캠퍼스 포함)
310명
290명
2023년(지역캠퍼스 포함)
382명
363명
예술영재 발굴 아카데미 운영
2018-2123년
연도
구분
내용
2018년
기회균등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3명
  • 차상위·차차상위 15명
  • 국가유공자자녀 1명
  • *외 3명
사회다양성
  • 다자녀 10명 / 다문화자녀 2명
  • 한부모가족지원법 2명
  • *외 3명
2019년
기회균등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8명
  • 차상위계층 6명
  • 국가유공자자녀 2명
  • *외 9명
사회다양성
  • 다자녀 11명/ 다문화자녀 1명
2020년
기회균등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13명
  • 차상위계층 2명
  • 국가보훈대상자 2명, 국가유공자자녀 2명
  • *외 7명
사회다양성
  • 다자녀 10명 / 다문화자녀 1명
  • 한부모가정의 자녀 2명
2021년
기회균등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6명
  • 국가보훈대상자 2명 / 국가유공자자녀 1명
  • *외 5명
사회다양성
  • 다자녀 4명 / 다문화자녀 3명
2022년
기회균등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6명
  • 국가보훈대상자 1명, 국가유공자자녀 1명
  • *외 2명
사회다양성
  • 다자녀 17명
  • 한부모가정의 자녀 1명
  • *외 1명
2023년
기회균등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2명
  • *외 2명
사회다양성
  • 다자녀 10명
  • 특수직업종사자자녀 2명

예술 창작 지원

예술가 창작기금 지원

(재)한국예술종합학교발전재단 기부금

0 억원



장학금

0 억원


학교지원

0 억원



수입
단위: 원
구분
금액
발전기금(일반/지정기금)
187,3324,567
장학기금
553,938,000
합계
2,427,262,567

지출
단위: 원
구분
금액
장학금
831,670,745
학교지원
377,506,505
합계
1,209,177,250

예술담론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한국예술의 체계화 및 세계화에 필요한 학문 기반 조성
트랜스아시아영상문화연구소
영상문화연구와 동아시아 지역학의 학제적 융합
세계민족무용연구소
국내외 민족무용의 비교연구를 통해 민족무용학의 기반 구축
예술과젠더연구소
젠더 이슈와 성평등에 관련한 학술 연구, 교육 및 예술활동 지원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예술영재교육 전담연구 기관으로 영재교육 실천 연구

6개원 주요 동문 활동

음악원
홍혜란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 교수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 단원
서선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 교수
스위스 바젤 오페라 극장 단원
손민수
미국 뉴 잉글랜드 음악원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교수
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교수
배동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작곡과 교수
이지혜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교수
독일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제2 바이올린 수석
김영욱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교수
심인성
오스트리아 빈 국립 오페라 극장 단원
윤소영
스위스 바젤 심포니 오케스트라 악장
조인혁
뉴욕 메트로 폴리탄 오케스트라 수석
유한승
독일 카셀 국립 오페라 극장 단원
한지혜
오스트리아빈 국민 오페라 극장 단원
장세호
오스트리아 린츠 주립극장 단원
김경호
독일 베를린 국립오페라 극장 단원
박종민
오스트리아 빈 오페라 극장 단원
이재식
군산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독일 바이마르 국립 오페라 극장 단원
문진성
중국 하얼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김대영
독일 바이마르 국립오페라 극장 단원
이형석
독일 뤼벡 오페라 극장 단원
최예은
스위스 바젤 오페라 극장 단원
전병권
독일 하노버 국립오페라 극장 단원
임희영
네덜란드 노테르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
최종현
독일 뉘른베르크 오케스트라 단원
최영진
일본 도쿄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수석
조성호
일본 도쿄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수석
이지윤
독일 슈타츠카펠레 베를린 악장
이원종
독일 플라우엔츠비카우 극장 전속 솔리스트
김성현
독일 뉘른베르크 국립극장 주역 가수
이승원
독일 데트몰트 국립극장 솔리스트
박승주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 단원
박재홍
제 63회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임윤찬
반 클리버른 국제 피아노 콩쿠르 최연소 우승 및 최고 연주상, 청중상
김신
에네스쿠 국제콩쿠르 작곡 교향학 부문 우승
한재민
에네스쿠 국제콩쿠르 첼로 부문 최연소 우승
윤이상 국제콩쿠르 첼로부문 1위
손지훈
제 17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성악부문 1위
아레테 콰르텟 제15회 모차르트 국제 콩쿠르 우승
방지연
런던 국제 고음악 축제 뫼크 리코더 독주 콩쿠르 1위
유다윤
롱 티보 국제 콩쿠르 바이올린 2위
박상혁
제4회 펜데레츠키 국제 첼로 콩쿠르 2위
선율
2024 지나 바카우어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청중상, 학생심사위원상
임채문
제4회 펜데레츠키 국제 첼로 콩쿠르 2위
이해
이탈리아 쿠세비츠키 지휘 콩쿠르 2위
김재원
프랑스 툴루즈 카피톨 국립 오케스트라 종신 악장
김두민
서울대학교 교수
독일 뒤셀도르프 심포니 오케스트라 첼로 수석
연극원
강윤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기과 교수
김동완
극동대학교 연극연기학과 교수
김성진
평택대학교 공연영상콘텐츠학과 교수
김선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기과 교수
김태웅
한국예술종합학교 극작과 교수
명현진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
박선혜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영화연기과 교수
박인선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예술대학 연기과 교수
서나영
평택대학교 공연영상콘텐츠학과 교수
성기웅
서울예술대학교 공연창작학부 교수
오만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기과 교수
2019 MBC연기대상 우수상
우수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학과 교수
윤소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기과 교수
이곤
경기대학교 연극예술학과 교수
이성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학과 교수
이영석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
이종무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
이종석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교수
이진희
한국예술종합학교 무대미술과 교수
최성신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공연예술스쿨 교수
최정선
서울예술대학교 공연창작학부 교수
최재영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공연예술스쿨 교수
황택하
청운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
이선균
2020 제26회미국영화배우조합상 캐스트상
이하준
2020 제24회미국미술감독조합상 현대극 부문
김남건
2020 제56회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문 남자최우수연기상
장서원
2020 동아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
강화길
2020 문학동네 제11회젊은작가상 대상
이연주
2020 제56회 동아연극상 신인연출상
황은후
2020 제56회 동아연극상 신인연기상
김지영
2020 제56회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박해성
2020 제22회 김상열연극상
동이향
2020 제14회 차범석희곡상
김도영
2021 제57회 동아연극상 희곡상
강필석
2021 제5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남자주연상
김태형
2021 제5회 한국뮤지컬어워즈 연출상
조상경
2021 제5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예술상(의상)
박용우
2022 제58회 동아연극상 연기상
한현주
2022 제58회 동아연극상 희곡상
김미란
2022 제58회 백상예술대상 젊은연극상
김애란
2022 제30회 오영수문학상
김나경
2023 제21회 대산대학문학상 희곡부문
이래은
2023 제59회 동아연극상 연출상
김혜빈
2023 제15회 목포문학상 박화성소설상
김성철
2023 제28회 춘사국제영화제 신인남우상
영상원
하승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교수
이정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 교수
조충연
한국예술종합학교 멀티미디어영상과 교수
임호준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교수
김정구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교수
박문칠
우석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한승룡
전주대학교 영화방송학과 교수
유세미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정상연
수원대 정보미디어학과 교수
곽기혁
동아대학교 현대미술학과 교수
제창규
동서대학교 영화과 교수
박재영
EBS PD
김병서
2021 제41회 청룡영화상 최다관객상
허철녕
2021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비프메세나상
장윤미
2021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박남옥상
명소희
2021 제12회 타이완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아시안비전경쟁 심사위원특별언급
이종필
2021 제57회 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이진호
2021 제24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코리안판타스틱 장편 작품상,배급상
나홍진
제2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작품상
김수진
2021 제58회 백상예술대상 각본상
윤대원
2021 제74회 칸국제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 2등상
조현철
2022 제5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조연상
홍의정
2022 제20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올해의 신인감독상
박이웅
2022 제58회 대종상 신인감독상
신수원
2022 제23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문수진
2022 제75회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학생부문 대상
정주리
2023 제59회 백상예술대상 각본상, 제26회 판타지아 국제영화제 감독상
이모개
2023 제59회 백상예술대상 예술상(촬영)
정서경
2023 제43회 청룡영화상 영화각본상, TV극본상
우성률
2023 제16회 일본국제만화상 최우수상
이상희
2023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뉴애니메이션 아트 부문 특별상
남궁선
2024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부문 대상, 왓챠상
박인제
2024 제60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김병인
2024 제6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예술상
이정홍
2024 제60회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
조현철
2024 제60회 백상예술대상 구찌 임팩트 어워드
무용원
조주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신창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안덕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정재혁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전성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김형민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김현웅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한석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이론과 교수
신승원
동덕여자대학교 발레과 교수
김영진
숙명여자대학교 현대무용과 교수
박근태
부산대학교 현대무용과 교수
이의신
서울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김기민
마린스키 발레단 수석
박세은
파리 오페라 발레단 수석
강호현
파리 오페라 발레단 솔리스트
안주원
아메리칸발레시어터 수석
한성우
아메리칸발레시어터 솔리스트
박선미
아메리칸발레시어터 솔리스트
최영규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수석
한서혜
보스톤 발레단 수석
채지영
보스톤 발레단 수석
이선우
보스톤 발레단 솔리스트
이상민
보스톤 발레단 솔리스트
하은지
핀란드 국립발레단 수석
이은원
워싱턴 발레단 수석
박예지
스페인 국립발레단 솔리스트
안재용
몬테카를로 발레단 수석
이소정
애틀란타 발레단 수석
신아현
보르도 국립 오페라 발레단 솔리스트
김리회
국립발레단 수석
박슬기
국립발레단 수석
김기완
국립발레단 수석
이재우
국립발레단 수석
박예은
국립발레단 수석
정은영
국립발레단 수석
이동탁
유니버셜발레단 수석
이현준
유니버셜발레단 수석
홍향기
유니버셜발레단 수석
김예지
호페쉬쉑터컴퍼니 리허설 어시스턴트
황환희
사샤발츠 앤 게스트 무용수
이흥원
아우라댄스시어터 무용수
정지완
스웨덴 예테보리 오페라 발레단
김성민
영국 램버트 무용단
조재혁
국립무용단 주역 역임
휴먼스탕스 대표
박기환
국립무용단 주역
이석준
국립무용단 주역
이재화
국립무용단 주역
장윤나
국립무용단 주역
박혜지
국립무용단 주역
이요음
국립무용단 주역
김진우
국립국악원 주역
박상주
국립국악원 주역
유하늬
국립국악원 주역
전수현
국립국악원 주역
박기량
남도국악원 안무자
장혜림
99art company 대표
김재승
마훌라컴퍼니 대표
안상화
댄스무아(Dance MUA) 대표
한정미
댄스PRO젝트점선면 대표
미술원
남화연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교수
2019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참여
김주원
최윤
2019 미국 뉴욕 두산레지던스 입주
(제10회 두산연강예술상 미술부문 수상)
김민지
스웨덴 Alessandro Ripellino Arkitekter 근무
장석준
2019 SEDG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Merit 어워드 수상
2019 DFA 아시아 디자인 어워드 대상
양승욱
2019 Pride Photo 어워드 Winner
문성민
2017 Type Directors Club Tokyo Excellent Work 선정
정한움 김정현
2019 Michelin Challenge Design 3등
김동빈
2019 Red Dot 어워드 Design Concept Winner(본상)
이승윤
이승하
2001 제19회 공간 국제 학생 건축상 대상
서윤희
윤지훈
황경원
2005 제8회 강구조 건축설계공모전 대상
최준은
이혜원
2009 대한주택공사 주최 신한옥디자인 공모전 대상
조재원
김민성
2009 제27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대상
정재원
2011 아름지기 헤리티지 투모로우 프로젝트 2 헤리티지 투모로우상(대상)
고건수
김석현
안채원
2011 제8회 도코모모코리아 디자인 공모전
우태식
2011 Art in Village 국제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김유진
한국어도비시스템즈 주최 ‘대학생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번역 콘테스트’ 대상
홍용현
2015 도심형 한옥 설계 공모전 대상
김덕재
2015 대한건축학회 제11회 우수졸업후논문전 최우수상
최정우
2015 대한민국경관대전 최우수상
이소영
신창하
2016 정림학생 건축상 대상
이소영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계획부문 대상
박혜선
2018 대한민국 신진건축사 대상
강예린
2020 서울 신촌 청년문화 전진기지 국토부 장관상
김희천
2023 제1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수상
김주원
2020 부산비엔날레 참여
정지현
2021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차재민
2022 삼성미술관 리움, 아트스펙트럼 작가상
이우성
2018 광주비엔날레 참여
김정현
2023 독일 폭스바겐 사 입사
최지영
2023 덴마크 BIG(Bjake Ingel Group) 입사
구정연
리움미술관 교육실장
류정화
㈜리우션(LIUSHEN) 대표
박미연
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학예팀장
박혜인
서울공예박물관 교육홍보과 연구원
이은정
서정아트 큐레이터
이은욱
넥슨코리아 인재육성팀 부장
장지한
2019 SeMA 하나평론상 수상
정재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미술품수장센터운영과 학예사
현시원
시청작 대표, 창원조각비엔날레 예술감독
심연정
코리아나미술관 space*c 큐레이터
이선주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뉴딜 코디네이터
김성민
하이브 ㈜빅히트뮤직 크리에이티브디렉터 겸 BX Lab 실장
오근영
재규어랜드로버 영국 본사 익스테리어 디자이너
김휘성
2023 TVCF 코리아 / 제21회 서울 영상 광고제(Seoul Creative Festival) 파이널리스트
방지연
이다연
이미현
2024 한국디자인학회 대학생 학술논문발표 선정
전통예술원
김원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 교수
류경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과 교수
박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 교수
이소정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교수
진윤경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과 교수
김성준
부산대학교 피리 교수
류근화
경북대학교 대금 교수
한갑수
국립국악원 정악단 해금 부수석
이웅
국립국악원 정악단 거문고 부수석
민지홍
국립국악원 정악단 피리 부수석
김지희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해금 수석
배런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아쟁 부수석
채수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민요 부수석
안은경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악장
김진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해금 수석
류근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대금 수석
배문경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아쟁 수석
서은영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가야금 수석
양재춘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타악 수석
백미진
국립국악원 무용단 수석
서희정
국립국악원 무용단 부수석
김서량
국립국악원 무용단 부수석
김문주
KBS국악관현악단 가야금 부수석
안형모
KBS국악관현악단 피리 부수석
성시영
서울시국악관현악단 피리 부수석
박경민
국립국악관현악단 대금 수석
이소연
KBS국악관현악단 피리 부수석
김진욱
성남시립국악단 대금 부수석
김경흔
성남시립국악단 해금 부수석
신성웅
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캠퍼스: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 32길 146-37

대학로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215

서초캠퍼스: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74
Tel: 02.746.9000
Fax: 02.746.9444
Facebook
Instagram
YouTube
Blog

K-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