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K
한국예술종합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로고
검색
navigation
공연전시
캘린더
K-Arts
SNS
학교소개
학교소개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소개
총장실
설립이념
연혁
비전
상징
대학현황
현황
규정집
조직/기구
K-Arts PR
홍보영상
브로슈어
매거진
뉴스레터
SNS Hub
캠퍼스안내
오시는길
주차안내
캠퍼스맵
교내 전화번호 안내
견학신청
입학정보
예술사/예술전문사
예술사 /
예술전문사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연극원
영상원
무용원
미술원
전통예술원
음악극창작협동과정
예술교양학부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사정보
학사일정
성적
학적
등록
졸업
교과과정
증명서발급
학생증발급
자료실
학생지원
장학금/학자금대출
기숙사
학생심리상담소
인권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
예비군대대
건강진료소
학생상해보험
학생지원팀(취업진로)
교내시설안내
학교활동
총학생회
동아리연합회
신문사
인권위원회
동문활동
총동문회
국제교류
해외자매교
교환학생
해외 예술인재 양성
해외인턴십
국제협의체
공지사항
알림/참여
알림/참여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지사항
보도자료
언론보도
수상소식
정보공개
정보공개안내
사전정보공표
등록금심의위원회
재정위원회
대학평의원회
클린행정
불편부조리신고
클린입시신고센터
클린교수채용신고센터
공연/전시/교육
공연/전시/
교육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연/전시
교내 공연전시
기타공연
공지사항
예약확인 및 취소
뮤지컬아카데미
시설대관
대관안내
대관신청
관련서식
문화예술교육센터
주말음악교실
전통예술나눔학교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방침
대학정보공시
저작권정책
사이트 맵
이전
닫기
화면 크기
+
-
누리
전자도서관
EN
CN
검색
닫기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알림/참여
홈
보도자료
공지사항
입찰공고
보도자료
언론보도
수상소식
정보공개
클린행정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Ⅱ 개최
담당자
대외협력과 성상현 (02-746-9078)
등록일
2025.07.01
조회수
58
250701-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II 개최.hwp ( 791040 byte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
〈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Ⅱ〉
개최
-
한국
·
중국
·
일본 전통무용
,
한 무대에 오르다
- 7
월
16
일
(
수
)
오후
7
시 한예종 서초캠퍼스 이강숙홀
한국예술종합학교
(
총장 김대진
)
무용원 부설 세계
민족무용연구소
(
소장 안덕기
)
는
7
월
16
일
(
수
)
오후
7
시 서초캠퍼스 이강숙홀에서
〈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Ⅱ〉
를 개최한다
.
이번 무대는 한국
,
중국
,
일본의 전통무용을 대표하는 총
8
편의 작품이 무대에 오르며
,
각국 전통춤의 정서와 미학
,
신체기법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장면을 통해 동아시아 전통무용의 깊이와 폭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공연의 서막을 여는 작품은
〈
춘앵전정재도
〉
로
, 1828
년 효명세자가 어머니 순원숙황후의 탄신을 축하하며 창제한 궁중 독무이다
.
오색 한삼과 앵삼을 두르고
, 6
자 길이의 화문석 위에서 추는 이 무용은 우아하고 정제된 춤사위로
'
궁중무용의 꽃
'
이라 불린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에서 한국 전통 정재의 절정미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을 선보인다
.
두 번째로 소개되는 작품은 중국 내몽고 자치구의 전통춤
〈
사우얼덩
·
예찬
(
萨吾尔登
·
礼赞
)
〉
이다
.
유목민이 오랜 세월 간직해온 자연과 조상에 대한 예찬을 주제로 한 이 작품은 화려한 의상과 유장한 움직임으로 내몽고족 특유의 환대 문화와 신앙적 세계관을 표현한다
.
중국의 무용가 왕 잔
(Wang Zan)
의 독무로 선보인다
.
이어지는
〈
한량무
〉
는 풍류를 아는 옛 선비의 멋과 기백을 춤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
이번 공연에서는 안덕기류의 독무 형식을 남성 군무로 재구성하여
,
남성춤 특유의 호방함과 절제된 미학을 동시에 드러낸다
. K-Arts
무용단의 완성도 높은 무대가 기대를 모은다
.
네 번째 작품
〈
조흥동류 진쇠춤
〉
은 꽹과리 가운데서도 맑고 강렬한 음색을 내는
'
진쇠
'
의 장단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
이 춤은 원래 팔도 원님이 임금 앞에서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며 추던 의식무에서 유래되었으며
,
근래에는 무속 제의와 굿춤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
댄스컴퍼니 좋은사람들의 무대로
,
원형성과 예술성을 함께 담아낸다
.
다섯 번째 작품은 중국 전통무용의 현대적 재구성이라 할 수 있는
〈
다메이지
·
타오르는 물결
(
达梅吉
·
炽涌
)
〉
로
,
혼돈과 광명의 이미지
,
북소리의 리듬을 결합하여 생명의 불씨와 자연의 기운을 무대 위에 시적으로 풀어낸다
.
첸 보양
(Qian Boyang)
의 절제된 신체 언어가 인상적이다
.
이어
2
인무로 구성된
〈
검무
〉
는 호남지역의 민속춤 전통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
염불
,
타령
,
휘모리 장단의 변화에 따라 춤사위가 전개된다
.
고대 무사들의 기개를 상징하는 이 춤은 무장의 기풍과 지역적 기교미가 조화를 이루며
,
채상묵 춤 전승원의 전통성과 기량이 돋보인다
.
일곱 번째 무대는 일본 전통무용극
〈
장요
(
長唄
) '
공노
(
供奴
)'
〉
로
,
에도시대 요시하라 지역에서 주인을 모시는 하인의 이야기를 희극적 몸짓과 세련된 연기로 풀어낸 작품이다
.
하나노모토 코토부키
(Hananomoto Kotobuki)
의 유려한 움직임을 통해 일본 무용 특유의
'
단자루노호
'
와 연기적 완성미를 감상할 수 있다
.
마지막 무대는 한국 경상도 지역의 민속춤을 계승한
〈
권명화류 소고춤
〉
이다
.
토속적이고 질박한 흥을 기본으로
,
일상의 동작과 해학적 요소가 아기자기하게 조합된 이 작품은 관객들에게 전통춤의 유쾌한 에너지를 전한다
.
이번 공연에서는 다양한 무대 구성으로 소고춤의 흥과 멋을 극대화하였다
.
이처럼
〈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Ⅱ〉
는 각국의 대표적 전통춤을 중심으로 궁중무
,
민속무
,
제의무
,
유희무 등 다양한 형식의 춤이 구성되어 있으며
,
그 고유한 미감과 정신을 오늘의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무대에 올린다
.
이번 공연을 주최하는 세계민족무용연구소는 전통춤을 기반으로 한 학술 연구와 국제 예술교류
,
공연 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과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을 오늘날 관객과 소통 가능한 예술로 전환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
공연은 전석 초대제로 운영되며
,
관람을 희망하는 이들은 사전 문의를 통해 초청받을 수 있다
.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안덕기
(
무용원 실기과 교수
)
소장은
“
춤은 그 민족의 정신이자 삶의 기억입니다
.
우리는 이번 무대를 통해 각 나라의 몸짓에 담긴 고유한 리듬과 호흡을 마주하고
,
동아시아 전통예술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줄 수 있는지 함께 묻고자 합니다
.”
고 전했다
.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계민족무용연구소
(02-746-9344, 9347)
로 문의하면 된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배소연
(
☎
02-746-9344)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목록
대외협력과 :
02-746-907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