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K
한국예술종합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검색
navigation
공연전시
캘린더
학교소개
학교소개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소개
총장실
설립이념
연혁
비전
상징
대학현황
현황
규정집
조직/기구
K-Arts PR
홍보영상
브로슈어
매거진
뉴스레터
캠퍼스안내
오시는길
주차안내
캠퍼스맵
교내 전화번호 안내
견학신청
입학정보
예술사/예술전문사
예술사 /
예술전문사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연극원
영상원
무용원
미술원
전통예술원
음악극창작협동과정
예술교양학부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사정보
학사일정
성적
학적
등록
졸업
교과과정
증명서발급
학생증발급
자료실
학생지원
장학금/학자금대출
기숙사(천장관, 신길관)
학생심리상담소
인권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
예비군대대
건강진료소
학생상해보험
학생지원팀(취업진로)
교내시설안내
학교활동
총학생회
동아리연합회
신문사
동문활동
총동문회
국제교류
해외자매교
교환학생
해외 예술계 인력양성
해외인턴십
국제협의체
공지사항
알림/참여
알림/참여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지사항
보도자료
언론보도
수상소식
정보공개
정보공개안내
사전정보공표
등록금심의위원회
재정위원회
대학평의원회
클린행정
불편부조리신고
클린입시신고센터
클린교수채용신고센터
공연/전시/교육
공연/전시/
교육
미래의 고전을 창작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연/전시
교내 공연전시
기타공연
공지사항
예약확인 및 취소
뮤지컬아카데미
시설대관
대관안내
대관신청
관련서식
문화예술교육센터
주말음악교실
전통예술나눔학교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방침
대학정보공시
저작권정책
사이트 맵
이전
닫기
누리
전자도서관
EN
CN
검색
닫기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알림/참여
홈
보도자료
공지사항
입찰공고
보도자료
언론보도
수상소식
정보공개
클린행정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개최
담당자
대외협력과 김보경 (02-746-9078)
등록일
2023.11.06
조회수
264
231106-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 24 개최.hwp ( 7757312 byte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
24
'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
개최
-
한국
,
북한
,
중국
,
인도
,
일본
5
개국 작품 엄선 공연
- 11
월
14
일
(
화
)
오후
7
시 한예종 서초캠퍼스 이강숙홀
한국예술종합학교
(
총장 김대진
)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
(
소장 안덕기
)
가 주최하는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
'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
가
11
월
14
일
(
화
)
오후
7
시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초캠퍼스 이강숙홀
무대에서 열린다
.
올해
24
번째를 맞이하는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는 연구소 개소 이후
20
여 년간 무대에 선보인 세계 각국의
70
여 가지 민족무용 작품 가운데
한국을 비롯하여 북한
,
중국
,
인도
,
일본 등
5
개국의 작품을 엄선
하였다
. '
아시아 민족춤의 정취
'
라는 주제로 한국의 정재무용과 아시아 민족무용의 다채로운 공연들로 가득할 예정이다
.
첫 무대를 장식하는
'
궁중학무
'
는 백학과 청학 한쌍이 청아하고 기품있는 자태로 무대에 등장한다
.
장생불사의 상징인 학을 타고 내려와 중국 당대
(
唐代
)
궁궐 문 중 하나인 망선문에서 춤추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
망선문
'
에 이어 무동
2
인이 긴 칼을 어르다가 회오리바람처럼 돌리며 추는
'
공막무
'
,
역신과 재액을 물리치는
'
처용무
'
로 우리나라 정재무용의 대표 작품을 선보인다
.
이어서 위엄있는 형상과 역동적인 춤사위로 두 마리의 중국 사자인
'
무사
(
舞獅
)'
,
부드러운 곡선미와 우아한 조형미가 두드러지는 인도 동부 오디샤
(Odisha)
지역에 전승되는
'
오딧시
(Odissi)'
로 전개된다
.
노래를 부르는 동시에 발로 땅을 밟으며 춤을 추는 중국의
'
답가
(
踏歌
)
'
와 일본 춘앵전으로 불리는
'
슌노덴
(
春鶯囀
)'
은 각각 중국 북경무도학원의 덩원잉
(
鄧文英
)
교수와 일본 초빙교수인 미타 노리야게 선생이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에 전수한 뜻깊은 작품이다
.
쟁강쟁강 소리를 내는 쇠팔찌를 양 손목에 걸고 흥겨운 율동에 맞춰 추는 북한의 민속무용
'
쟁강춤
'
으로 무대의 막을 내린다
.
세계민족무용연구소는
<
무자진작의궤
(
戊子進爵儀軌
)>(1828
년
)
를 국역하면서 의궤에 기록된 행사의 진행
,
복식
,
의물
,
의례 등 모든 구성요소가 고증과 분석을 통해 완성도 높은 공연을 선보인 바 있다
.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
24
공연에 앞서
11
월
11
일
(
토
)
오전
10
시
30
분부터 서초캠퍼스
CAP
강의실
에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
무자년 진작례 재연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향성
'
을 주제로 한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효명세자의 모후에 대한 효심과 조선 왕실의 안전을 기원하는 궁중 의례와 궁중 예술이 어우러진 종합예술에 대해 발표와 토론이 이어진다
.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안덕기
(
무용원 실기과 교수
)
소장은
“
올해의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는 그간의 국내외 원로 선생님들을 모시고 춤을 전승받아 무대에 많이 오른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
라며
“
연구소의
20
년에 걸친 주요한 성과를 한눈에 보는 동시에 아시아의 다채로운 예술작품을 함께 즐겨주시기를 기대한다
.”
고 전했다
.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계민족무용연구소
(02-746-9344, 9347)
로 문의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무용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배소연(☎02-746-9344)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목록
대외협력과 :
02-746-907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