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영역 | 교과범주 | 과목 |
---|---|---|
기초교양 대학교육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기본적인 소통능력과 건강관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양 영역 |
언어와 소통 말하기와 글쓰기를 통해 사고력과 표현력을 강화하고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 |
인문학적 글쓰기 · 예술적 글쓰기 · 발표와 토론 |
외국어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 |
실용영어 1~4 · 초급일본어1~2 · 중급일본어1~2 · 초급중국어1~2 · 중급중국어1~2 · 교양불어 · 교양독어 · 한국어 기초~고급(*외국인 학생 대상) | |
디지털 문해 4차산업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디지털 문해력을 키우기 위한 과목 |
아티스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 창의적 사고와 코딩 ·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술 | |
몸과 마음의 건강 예술 표현의 기초가 되는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만들기 위한 과목 |
춤과 안무: 움직임으로 자신을 이야기하다 · 전통무예 · 요가 · 몸으로 말하기 ·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을 위한 비폭력대화 · 체육1~2 · 댄스스포츠1~2 · 요가 · 몸짓의 탐구와 훈련 · 전통춤1~2 · 행복한 삶 · 알렉산더 테크닉: 신체힐링연습 | |
핵심교양 예술에 대한 기본 소양과 핵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양 영역 |
예술의 기초 다양한 예술장르의 이해를 돕는 과목 |
미술의 이해 · 영화의 이해 · 음악의 이해 · 연극의 이해 · 전통공연예술의 이해 · 문학의 이해 · S.F · 한국예술의 사상 · 내러티브와 예술 · 전통회화기초1~2 · 교양합창 · 대중음악과 미디어 · 패션과 예술 · 전통성악의 기초 · 사진과 영상 · 사진과 표현 · 도자조형 · 뮤지킹:21세기 음악과 사운드를 통한 음악하기 · 애니메이션: 현대영상문화의 꽃 · 사운드의 세계 · 시각의 시대: 동시대 예술과 문화 · 영상언어의 이해 · 드로잉기초실습1~2 · 영상음악 · 단편영화산책 · 공연제작 실무기초 · 유리조형기초 · 문화다시보기: 영상, 사진, 문학 ·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 영화문법과 표현기법 |
예술과 인문학 예술적 통찰력과 비판 능력을 기르기 위해 인문학적 지식과 사고를 익히는 과목 |
한국역사의 이해 · 현대철학의 흐름 · 미학과 가치론 · 예술철학의 근본문제들 · 동서양의 고전과 예술 · 음악으로 듣는 20세기 문화사 · 예술과 인간 · 인간의 가치 탐색 · 예술과 정신분석 · 세계사 · 현대 중국의 이해 · 중국 문학과 사상 · 한국 근현대사 연구 · 신화와 예술 · 고전 읽기 | |
예술과 사회 예술 자체를 넘어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모색하는 과목 |
문화연구입문 · 예술과 여성 · 예술과 사회 · 한국 도시문화와 대중음악 · 예술과 권력: 충돌 혹은 타협의 역사 · 지각, 전쟁 그리고 미디어 기술 · 도시, 공간, 환경 · 포스트 휴먼 시대의 예술 · 멘토와의 만남 · 춤, 이미지, 젠더 · 페미니즘 입문 · 중국영화와 문화산업의 미래 · 예술가를 위한 법 · 예술과 정치 · 대중문화읽기 · 환경과 인간 · 예술가의 자기 브랜딩 | |
융합교양 예술 및 다양한 학문을 창의적으로 융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양 영역 |
예술과 예술 장르간 경계 허물기를 통한 유연하고 창의적인 융합과 협업을 수행하는 과목 |
융합창의창작워크숍 · 융합창의리서치워크숍 · 장르리믹스워크숍1~2 |
예술과 과학 현대과학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목 |
과학의 산책 · 과학예술문화의 만남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예술 | |
예술과 교육 예술교육에 대한 보편적 이해와 장르별 교육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과목 |
문화예술교육개론,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 |
자율연구 정규 수업시간 외에 진행되는 외부 프로그램 참여를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비교과 과목 |
해외인턴쉽1~2 · 사회봉사 · 예술봉사1~2 · 예술참여프로젝트 · 예술교양입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