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미술과는 공연예술의 시각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무대, 조명, 의상 분야에서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주변의 환경과 매체를 능동적으로 다룰 수 있는 창의적인 예술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문화와 역사, 그리고 사회 등 인문적인 지식에 대한 교육을 밑거름으로 하고 이론이 바탕이 된 실기 중심의 전공 교육을 통해서 통찰력을 지닌 전문적인 무대예술인 배출에 힘쓰고 있다.
예술사는 크게 1, 2학년의 하위 과정과 3, 4학년의 상위 과정으로 구분한다.
하위 과정에서는 인문학적 수업과 더불어 조형, 제작기술, 컴퓨터수업 등과 같은 전문 과정의 기본 지식이 될 수 있는 수업을 실시하고, 상위 과정에서는 무대, 조명, 의상, 프로덕션으로 세분화된 전공심화 수업을 통한 전문적 성장에 역점을 둔다. 또한 협업으로서의 공연예술과 무대미술의 작업 과정을 습득하기 위해 레파토리 공연 및 연출프로젝트 공연 등에 무대미술 스태프로 참여해 실질적인 무대 경험을 쌓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개인의 적성과 재능을 발견, 계발시키도록 한다.
전문사 과정에서는 학생 각자가 연구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실험해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예술적 통찰력과 인문학적 감수성을 지닌 평론가, 이론과 실제를 창조적으로 접목시키는 드라마터그, 체계적인 지식과 다양한 방법론으로 연극의 가치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연극학 인재를 육성한다. 연극 및 공연예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진단을 바탕으로 한국 연극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연극을 주도할 연극인을 교육한다.
예술사 과정은 탄탄한 비평적 글쓰기, 극예술을 넘어 예술 전반에 대한 인문학적 지식의 축적, 이론과 실제를 유기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안목과 유연성을 키우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저학년에서는 연극사와 극이론 등의 수업을 통해 이론적 토대를 쌓고 희곡 및 공연에 대한 분석력과 비평방법론을 익히며, 고학년에서는 교내외 공연장에서 드라마터그와 인턴 등의 실습과정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학술논문을 제출한다.
전문사 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관심과 희망에 따라 연극비평, 드라마터지, 연극학을 선택하여 전공할 수 있다. 프로페셔널한 평론과 프로덕션 드라마터지, 독자적인 학술적 연구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심화된 이론수업 외에 개별연구, 인턴십, 국제학술대회 참가, 연극저널 제작 등의 실기 연수와 현장교육이 강화된다.
관객에 공감하고 예술가와 공생하며 예술시장을 창조하는 예술경영인을 육성한다.
예술경영 전공 예술사 수업은 크게 네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예술경영입문, 공연기획과 제작, 극장경영 등 예술경영 제 분야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수업이다. 두 번째는 마케팅이론, 문화경제학, 재무관리 등 예술경영과 관련 있는 분야의 학습이다. 공연실습, 현장실습, 인턴십 등 학교 안팎의 공연과 현장에 참여하며 실무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세 번째다. 마지막으로 실습보고서, 세미나 등을 통해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설계한다.
전문사 과정은 2년 과정으로 예술경영 분야의 연구 능력과 실행력을 확보하는데 초점을 둔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여 예술경영 분야의 리더로 성장하는 것을 돕는 것이 주요 방향이다.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학 연구도 무시하지 않는다.
극작전공은 인간 삶에 언제나 새로운 형식의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발상능력과 존재의 조직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예민한 통찰력 그리고 자기만의 개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극형식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성능력을 지닌 극작가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예술사 과정은 인문학 및 예술일반에 대한 기초교양교육과 극작가가 되기 위한 전공교육을 실시한다. 전문사 과정은 작가가 되기 위한 심화교육을 실시하며, 독립된 작가로 성장하기 위한 자율성을 강조한다. 아울러 연극현장을 선도해 갈 자기 기획성 그리고 개성과 독창성을 지닌 자기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교육의 중점을 둔다.
창의적 글쓰기는 평범하고 사소해보이는 삶이 온통 심각하고 문제적인 수수께끼 투성이라는 사실을 알아보는 데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려고 하자마자 온갖 언어적 관습이 앞을 가로 막고 그것을 다시 평범하고 사소한 것으로 되돌려 보내려 한다는 사실과 싸워야만 한다. 현실이라고 알려진 타성에 순응하는 사유와 스타일 둘 모두와 불화하는 것, 그것들을 비틀어버리면서도 무의미와 혼돈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재구성하는 것, 그것이 창의적 글쓰기다.
예술사 저학년 과정에서는 그러한 불화와 재구성의 역사를 관찰하기 위해 서양 고전부터 동시대 한국 작품까지, 희랍 신화부터 실험적인 시까지, 한국 근현대사부터 서양 철학까지, 시간과 형식을 넘나드는 다양한 텍스트를 체험하고 흡수한다. 한 사람의 작가는 천재적인 내면으로부터 신비한 영감에 이끌려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불화와 재구성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두 요소들의 부단한 부딪힘을 성실히 연습한 끝에 간신히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술사 고학년과 전문사 과정에서는 그러한 훈련 뒤에만 얻어질 수 있는 자신만의 목소리로 작품으로서의 글쓰기를 연습하며 가장 개성적인 표현이 가장 근본적이고 보편적인 차원에 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연기과는 몸과 마음이 균형 잡히고 창의적 능력을 지닌 배우를 양성한다
연기과 예술사는 4년 동안의 체계적인 훈련을 통하여 상상력과 창조력을 지니며 고유의 연기 세계를 가진 배우를 양성한다. 동서의 고전에서 현대의 실험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식의 연기를 전문적으로 교육시켜 연극,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는 전문 배우로 키워낸다. 1학년 과정에서는 몸과 마음의 훈련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며, 2학년 과정에서는 작품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인물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3학년 및 4학년 과정은 공연(연극, 영화, 뮤지컬)을 중심으로 역할로서의 삶을 모색하고 탐구한다.
1학년 연기실습, 즉흥연기, 움직임, 박과 사위, 호흡과 발성
2학년 연기실습, 움직임, 호흡과 발성, 서양가창, 한국의 소리, 화술
3학년 연기실습, 공연, 한국 무용
4학년 공연, 인턴쉽
창의성과 지성을 겸비한 배우와 연기 교육자를 양성한다.
연기과 전문사는 3년 동안의 체계적인 훈련을 통하여 창의적인 연기력을 지니고 전문적인 교육 능력을 함유한 연기 전문가를 양성한다. 다양한 연기론의 접근과 체계적인 훈련을 통하여 연기자로서의 신체적 능력뿐 아니라 지적인 능력을 계발하고, 논문 연구 과정을 통해 연기 교육자 및 연구자로서의 전문성을 발전시킨다.
아동청소년연극전공은 전문사 과정으로, 감각적 상상력과 몸을 통한 사유에 바탕을 둔 아동청소년연극을 창작, 실행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연극놀이를 통해 연극과 놀이의 예술적, 교육적 잠재성을 탐구하고, 과정 중심적이며 인터랙티브하게 아동·청소년·커뮤니티와 연관된 공연(스토리 씨어터, 사이트-스페시픽 퍼포먼스 등의 공동창작)에 대한 실제적 훈련을 한다. 또한 세미나와 포럼 등의 이론적 훈련과의 균형을 통해 다양한 문화·사회적 맥락에 맞는 아동청소년연극에 대한 실험과 성찰을 추구한다.